산자부, ‘5000만 환자정보 파는 플랫폼 구축’ 사실무근…“의료데이터 표준화해 연구에 활용”

산업통상자원부가 40여개 기관이 모여 바이오 빅데이터 플랫품을 구축하고 이 플랫품을 통해 환자정보를 사고팔 수 있도록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에 대해 전면 부인하고 나섰다.

산자부가 추진 중인 바이오 빅데이터 사업은 병원별로 상이한 의료데이터를 표준화해 연구에 활용하는 플랫품을 구축하는 것이지 환자정보를 사고파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앞서 한 언론은 ‘산자부가 추진하는 바이오 빅데이터 플랫품 사업에 대학병원 등 40개 기관이 참여해 다음달 시범사업을 론칭하며, 이를 통해 30개 이상의 병원이 제공하는 5,000만 환자의 진료정보를 거래하는 플랫폼이 구축된다’고 보도했다.

이 언론은 ‘바이오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약사는 물론이고 의료기기, 건강 컨설팅, 보험, 식품, 화장품 업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제품 개발이나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창출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하지만 해당 보도에 대해 산자부는 사실무근이라고 해명했다.

산자부는 “의료데이터를 사고파는 거래시장이 열리고 해외에 데이터를 판다는 기사내용은 사실과 다르다”며 “산자부의 바이오 빅데이터 사업은 병원별로 상이한 의료데이터를 표준화해 연구에 활용하는 플랫품을 구축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산자부는 “이 사업은 원본데이터를 병원 외부에 공개하는 것이 아니라 통계적 연구결과만 제공하는 것으로 의료데이터를 사고파는 것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산자부 바이오나노과 관계자는 본지와 통화에서 “해당 기사는 오보다. 해당 언론에서 관련 학회를 취재하면서 (학회 발표자) 발제자료 내용을 쓴 것일뿐”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데이터를 매매한다는 것도 오보지만 또 다른 오해의 소지는 병원의 데이터를 한 곳에 모은다고 생각할 수 있는 것”이라며 “의료법상 병원 데이터는 외부로 나갈 수 없기 때문에 공통 분석 소프트웨어를 활용할뿐”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이 관계자는 산자부가 바이오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고 연구자들이 이를 활용하는 것은 기존 연구와 다를 바 없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지금도 (업체 등이) 병원에 연구를 의뢰하면 연구비를 내고, 병원은 정보를 활용해 연구를 하게 된다”며 “바이오 빅데이터 플랫폼은 연구 시 결과값 분석 등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일 뿐”이라고 말했다.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을 위해 환자정보를 활용하는 것은 지금도 문제가 없다는 입장도 밝혔다.

이 관계자는 “환자정보 활용 이슈는 빅데이터 플랫품 때문에 나오는 게 아니다”라며 “환자정보는 지금도 의학연구에 사용되고 있고, 연구를 통해 특허등록 등 경제적 이익도 발생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환자정보 활용이 문제라면 빅데이터 구축과 상관없이 이의제기가 가능한 것”이라며 “빅데이터 구축 만의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산자부는 지난해 4월 ‘4차 산업혁명 대비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하며 서비스분야에서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비즈니스모델 개발, 규제 해소 추진을 밝힌 바 있다.

산자부는 이를 위해 ▲분산형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빅데이터 기반 맞춤 신약개발 및 혁신 생태계 조성 ▲융합 의료기기 개발 및 국내외 시장진출 지원 등의 정책 방향도 제시했다.

또한 정책 추진을 위해 데이터 보유기관(주요 병원), 데이터 수요기관(서비스기업, 제약사, 보험사 등), 데이터 중개기관(통신사, 소프트웨어업체 등)이 참여하는 분산형 바이오 빅데이터 추진특별팀(단장 연세의대 송시영 학장)도 발족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