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투석 전문의 없이 운영되는 인공신장실도 10곳 중 3곳
신장학회가 보고서 제출했지만 후속조치 미시행

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투석환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국가 차원의 인공신장실 설치기준이 마련돼 있지 않아 투석 질관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대한신장학회는 17일 서울 그랜드힐튼호텔에서 열린 ‘KSN 2018’ 국제학술대회 기자간담회에서 정부차원의 인공신장실 설치기준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신장학회 김용수 이사장은 “말기신부전으로 투석치료를 받는 환자는 급속하게, 매년 지속 증가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 1,000여개의 인공신장실이 있고, 인공신장실을 갖춘 요양병원도 늘고 있다"며 "하지만 신장전문의가 아닌 이들이 투석을 관리하는 경우도 늘고 있어 질적 관리가 요구된다”고 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혈액투석 전문의가 1명도 없는 인공신장실도 무려 23.7%에 달한다. 최근에는 요양병원의 인공신장실 설치가 늘면서 인력 및 시설이 부족해 감염 등에 취약한 노인들이 위협받고 있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KSN 2018에서 발표되는 말기신부전환자 등록사업 결과에 따르면, 2017년 말 기준 국내 말기신부전환자는 9만8,746명에 달한다. 인구 100만명 당 말기신부전 환자수는 1,898명 꼴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투석이 필요한 환자가 늘고 있는 셈이다. 투석 평균연령은 혈액투석 62.3세, 복막투석 53.8세이며 말기신부전 원인질환은 당뇨병성 신장병이 48.9%로 가장 높았다.

투석환자가 늘면서 양질의 치료환경이 조성돼야 하지만 해외와 달리 국내에는 인공신장실 설치기준이 마련돼 있지 않다. 지난 2011년 보건복지부가 신장학회에 인공신장실 설치기준 관련 연구를 맡겨 최종보고서까지 제출했지만 후속조치가 이뤄지지 않았다.

현재 인공신장실 인증평가와 관련한 기준은 심평원의 혈액투석 적정성평가와 학회가 진행중인 인증평가사업이 전부다. 말기신부전환자의 경우도 국가가 아닌 학회 차원에서 등록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김 이사장은 “신장학회의 사업은 학회 회원을 대상으로 자발적으로 하는 것으로 강제성이 없다. 또한 학회 회원이 아니면 접촉이 안된다. 인공신장실을 운영하지만 회원이 아닌 경우 관련 데이터를 보내달라고 강요할 수 없다”면서 “실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지금 말기신부전환자 등록사업이 가장 중요하다. 문제가 무엇인지 알아야 개선이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미국이나 일본의 경우, 투석환자를 100% 국가가 등록해 관리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없다"며 "암환자 등록사업처럼 인공신장실에서 투석환자를 100% 등록하는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학회가 지난해 실시한 ‘인공신장실 인증평가’ 결과, 총 76개 인공신장실이 우수 인증을 받았다. 평가대상 의료기관은 1년 이상 혈액투석을 시행한 인공신장실이며, 평가대상 환자는 2017년 5월~7월까지 1개월 이상 혈액투석을 받은 환자들이다. 인증평가는 총 96명의 평가위원들이 현지조사를 통해 진료과정을 직접 확인하고 실시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