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탄성심병원 서국희 교수 "조기진단 투자, 사회적 낭비 초래할 수도"

문재인 정부가 '치매국가책임제'를 통해 치매 검진과 장기요양 서비스 등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지만 정작 이렇다 할 치료제가 없어 검진 프로그램 등의 효과가 반감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현재 치매 치료제로는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억제제(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ACEI)가 기존 치료제보다 인지기능 보전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ACEI 계열 약제는 한국에자이 아리셉트(성분명 도네페질), 한국노바티스 엑셀론(리바스티그민), 한국얀센 레미닐(갈란타민) 등이 있고, 약제마다 다양한 제네릭 제품이 출시돼 있다.

하지만 이같은 치료제들도 치매 진단프로그램에 대한 정부의 노력을 의미 있는 투자로 만들기엔 효과가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한림대의료원 동탄성심병원 서국희 교수(정신건강의학)는 한국보건의료원이 최근 발간한 'Evidence and Values in Healthcare 2018'에 '복잡계로서의 뇌와 치매'란 기고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앞서 정부는 혈액검사 등을 통한 치매 조기진단 등을 통해 치매에 대한 예방을 강화하는 한편, 치매 치료제 등을 위한 중장기 연구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현재로선 조기진단에 대한 효과를 장담할 수 없다는 게 서 교수의 지적이다.

서 교수는 "치매의 조기진단은 현실적으로 전문가에게도 어려운 상황이다. 보건소나 치매센터에서 어설픈 치매 선별도구로 섣불리 조기 치매 진단을 내려선 안 된다"면서 "조기 치매가 의심된다고 통보받은 피검사자는 불안과 이로 인한 신체적 고통, 치매에 대한 공포를 겪게될 수 있고 무분별하게 의료기관을 찾게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간이 치매진단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등의 점수도 교육수준과 연령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만큼 30점 만점을 받더라도 치매가 있을 수 있고 중증치매에 해당하는 10점 이하도 치매가 아닐 수 있다는 게 서 교수의 설명이다.

서 교수는 이같이 치매 진단 기준이 애매한 상황에서 치매 경과속도를 늦출 뚜렷한 치료제도 없어 문제라고 지적했다.

서 교수는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억제제들은 흡연시 니코틴이 붙는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니코틴 대신 붙어 인지 기능 개선효과를 나타낸다"면서 "이 억제제들이 니코틴보다 수용체 붙어 있는 시간은 길지만, 일상생활능력을 회복시켰다고 단정할 만큼 유의미한 효능을 보이지는 못한다"고 했다.

이어 "치매환자가 현재 시판되는 치매약물을 꾸준히 복용하더라도 결과적으로는 치매가 악화되는 경과를 보게된다"며 "계속 흡연을 하던 치매환자들이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억제제 복용 후 저절로 흡연을 중단한 바 있다. 이로 미루어 이 억제제들의 약리적 효능은 니코틴과 같거나 그보다 조금 더 나은 수준일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억제제가 치매 치료제라고 확신하기엔 무리가 있다는 견해다.

서 교수는 "정확히 말하면 아직까지 치매 치료제는 없다. 현재 치매 치료제로 알려진 약물들은 인지기능을 수개월에서 최장 1년 이내 기간 동안만 개선해주는 정도"라며 "세계 굴지의 제약사들이 치매 치료제 개발을 시도했지만, 아직 가시적 성과가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조기 치매 진단프로그램은 사회에 엄청난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며, 치매 이후 지원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했다.

서 교수는 "지금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치매와의 전쟁을 선포하는 게 아니라 치매에 걸려 3~4세 유소아 수준으로 퇴행하더라도 사회 변두리에 버려지는 삶이 되지 않고 인간의 존엄을 유지한 채 생을 마감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