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미셀 이현아 연구소장 "수지상세포 플랫폼 기술, 암 치료의 핵심 무기 될 것"

2011년 랠프 슈타이만이 수지상세포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면서 전세계적으로 수지상세포를 이용한 항암치료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파미셀이 내년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를 이용한 항암제의 임상시험에 들어갈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특히 파미셀은 기존 수지상세포와는 다른 ‘차세대 수지상세포’로 신약을 개발하고 있으며, 국내에선 상업화에 가장 근접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수지상세포, 넌 누구냐!
수지상세포는 우리 신체 면역방어기능을 유도하고 밸런스를 조절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세포다. 특히 내외부에서 유입되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암세포 등 각종 물질에 대해 즉각적으로 반응해 이를 공격하거나 면역을 구성하는 세포를 교육해 침입자를 선택적으로 제거할 뿐 아니라 같은 종류의 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선제적으로 반응하게끔 유도한다.

질병의 치료를 위해 외부에서 분화, 증식과정을 거친 수지상세포 치료제를 몸안으로 주입하면 주변 림프구로 이동해 T-Cell과 B-Cell 등을 만나 질병의 원인 표식자(항원)에 대해 알린다.
항원을 공부한 각종 면역세포들은 이에 대응하는 효능성 세포로 활성화되거나 항체를 만들어 치료를 하고 몸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같은 작용기전 때문에 수지상세포를 이용한 치료제를 치료용 '백신'이라고 부른다.

교육된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수지상세포 기반 치료제는 이론적으로 적합한 항원(Antigen)만 주어지면 항원 특이 면역 반응 유도를 통해 다양한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

즉, 수지상세포에 전립선암 항원을 결합하면 전립선암 치료용 항암면역세포 치료백신이 만들어진다. 관련 항원에 따라 유방암, 난소암 등에 대한 각각의 고유한 치료제가 만들어지는 구조다. 이에 파미셀은 수지상세포 치료백신을 플랫폼 기술이라고도 말한다.

기자와 만난 파미셀 이현아 전무(연구소장)는 "우리가 개발하고 있는 치료제는 체크포인트(checkpoint) 억제제, CAR-T 등의 면역항암제와 작용 기전이 다르다. 오히려 백신에 가까워 치료백신으로 부른다. 면역반응 자체를 유도하기 때문"이라며 "핵심은 수지상세포에 주어지는 항원에 따라 치료 대상 질환에 특이한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고유한 치료제가 나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파미셀 이현아 전무

차세대 수지상세포라고?
파미셀은 기존 수지상세포와는 다른 '차세대 수지상세포'를 이용해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 이유는 말초혈액으로부터 단핵구를 선별해 분화시키던 기존 수지상세포와 달리 혈액 내에 1% 이하로 존재하며 강력한 항원 소개기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수지상세포 아형(subtype)을 이용해 개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전무는 "골수조혈줄기세포에서 분화시킨 새로운 아형의 수지상세포 증식에 성공했다“며 "특수한 과정을 거치면 사람에게서 수지상세포가 약 100배 가량 증가한다"고 말했다.

이 새로운 아형의 수지상세포를 차세대수지상세포라고 부르는 이유는 강력한 항원 소개기능 때문이다.

이 전무에 따르면, 전임상시험에서 파미셀의 수지상세포 기반 치료제의 항암효과 및 종양특이 면역반응은 기존 단핵구 분화 수지상세포 대비 동등 이상이었다.

파미셀, 내년 상반기 임상 진행

파미셀은 차세대 수지상세포 기반 치료제의 출시 로드맵도 내놨다.

첫 제품은 전립선암 또는 난소암 치료제로 개발하겠다는 목표 하에 내년 상반기 중 1상 임상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 전무는 "수지상세포와 병합할 수 있는 항암제 후보물질 도출 등 파미셀 바이오케미칼 사업부와 함께 새로운 항암 연구도 선보일 것"이라며 "면역학적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항암제를 개발해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더불어 경제성을 고려해 환자 (신약) 접근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