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29만여명 대상 조사결과, 혈압 ‘120~129/80mmHg미만’으로 관리 시 합병증 위험 낮아져

심방세동환자의 경우 혈압을 ‘수축기 120~129mmHg, 이완기 80mmHg미만’으로 관리해야 합병증 예방에 가장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해당 혈압은 현재 국내 고혈압진단기준보다 훨씬 낮은 것이어서 국내 고혈압진단기준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정보영·김태훈 교수팀과 분당차병원 심장내과 양필성 교수는 국내 29만여명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지난 18일 발표했다.

(왼쪽부터)세브란스병원 정보영 교수, 분당차병원 양필성 교수

현재 국내 고혈압진단기준은 ‘수축기140mmHg, 이완기 90mmHg’ 이다. 미국의 경우 지난해 고혈압진단기준을 강화해 ‘수축기 130mmHg, 이완기 80mmHg’으로 변경했다.

연구팀은 국내 고혈압 진단 기준이 심방세동환자에게도 적절한 기준인지 규명하기 위해 미국 기준으로 고혈압 환자군을 설정한 후, 고혈압인 환자군(수축기 130~139mmHg 또는 이완기 80~89mmHg)과 고혈압이 아닌 환자군(수축기 130mmHg 미만, 이완기 80mmHg 미만)의 합병증 발병 위험을 비교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바탕으로 지난 2005~2015년 사이 심방세동을 새롭게 진단받은 29만8374명의 환자들의 데이터를 활용해 분석을 진행했다.

연구결과, 미국 의료계가 제시한 고혈압 기준인 ‘수축기/이완기 130/80mmHg’을 기준으로 심방세동 환자의 주요 심혈관질환·뇌경색·뇌출혈·심부전 발생률이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영 교수는 “이는 미국의 새 고혈압 진단 기준이 심방세동 환자의 고혈압을 조기에 진단해 내고 적절한 관리를 하도록 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또한 연구팀은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심방세동 환자의 구체적인 혈압 관리 목표치를 찾아내기 위해 추가 분석을 진행했다.

심방세동 환자 중 국내 고혈압 진단 기준에 따라 고혈압 치료를 받고 있는 15만 8,145명을 대상으로 혈압 구간대에 따른 질병 발병 위험률을 살폈다.

조사 분석한 혈압 관리 구간은 ▲수축기 120㎜Hg미만, 이완기 80㎜Hg미만 ▲수축기 120~129㎜Hg, 이완기 80㎜Hg미만 ▲수축기 130~139㎜Hg, 이완기 80~89㎜Hg ▲수축기 140㎜Hg이상, 이완기 90㎜Hg이상 총 4개 구간이었다.

분석 결과, 주요 심혈관질환·뇌졸중·심부전 등 대부분의 합병증 발생 위험은 ‘수축기 120~129㎜Hg, 이완기 80㎜Hg 미만’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심방세동환자의 이상적인 혈압 목표치가 현재 국내 고혈압기준보다 훨씬 낮아야 한다는 의미다.

정보영 교수는 “고혈압 치료를 받는 심방세동 환자군은 ‘수축기 120~129㎜Hg, 이완기 80㎜Hg미만’을 기준으로 혈압이 상승할 때마다 모든 합병증 발생 위험도 동반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뿐만 아니라 국내 기준 정상 혈압 구간보다도 수축기 120~129㎜Hg, 이완기 80㎜Hg 미만이 더 적합한 혈압 관리 목표치로 분석됐다. 한 예로 심부전의 경우 정상 혈압 구간에서 12%에 가까운 높은 발생 위험을 보이다 이 혈압 구간에서는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로 심방세동 환자와 의료진에게 적극적인 고혈압 진료와 관리 가이드 라인을 제시해 다양한 중증 합병증 예방 가능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국제적 심장질환 학술지인 ‘미국심장학회지(JACC)’ 최근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