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균요법학회, 복지부 내 전담부서 필요성 강조…중소병원 감염관리 지원해야

의사 통제만으로는 항생제 사용량 감소와 내성 극복에 성공할 수 없으며,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시행을 위해서는 보건복지부 내 전담 부서를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한 항생제 내성균 전파 차단을 위해 중소병원과 장기요양병원에 대한 감염관리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대한항균요법학회는 항생제 내성 극복을 위한 ‘2018 항생제 내성 예방주간 전문가 포럼’ 기자감담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배현주 위원장(좌), 엄중식 위원장.

포럼 항생제관리분과 배현주 위원장(한양의대 감염내과)은 “지금과 같은 시스템에서는 의사들이 항생제를 처방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정부가) 의사들의 팔을 비틀 수는 있겠지만 그것으로 항생제 사용을 줄일 수는 없다”고 말했다.

배 위원장은 “영국의 경우 항생제 사용을 줄인 의료기관에 대한 인센티브를 주고 적절한 교육을 한다”며 “특히 전문가와 정부가 협의 하에 적정한 항생제를 고르고 사용한다. 의사의 팔을 비틀지 말고 스스로 깨닫게 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배 위원장은 “이 모든 것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정부의 리더십이다. 이를 위해 보건복지부 내 항생제 전담관리부사가 필요하다”며 “또한 (영국과 같이) 민관이 함께 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관련 자료를 민간에 오픈해 제대로 된 항생제 사용 실체를 알아야 정책도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내성균관리분과 엄중식 위원장(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은 항생제 관리를 위한 중소병원과 요양병원 지원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엄 위원장은 “대형병원 중에서도 항생제 내성 관리가 안되는 경우가 있지만 중소병원과 요양병원의 경우 기본 역량도 갖추지 못한 곳이 많은 감염관리 사각지대”라며 “특히 원내 내성균 전파 확대를 막기 위한 격리시설과 인력이 부족한 것이 가장 크다”고 지적했다.

엄 위원장은 “격리시설과 소모품에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데, 건강보험 급여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이 재원을 의료기관이 마련해야 하고 손해가 심각하다”며 “감염 관련 전문의가 아닌 의사와 일반인들의 경우 항생제 내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소송과 분쟁으로 이어지는 소모적 논쟁이 발생하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이런 문제 해결을 위해 엄 위원장은 우선 중소병원과 요양병원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지부터 파악해야 한다고 했다.

엄 위원장은 “적이 어디 있는지 알아야 대처도 가능하다. (항생제 내성균이) 어디에 얼마나 있는지 알아야 조절이 가능하다”며 “이를 위해 다재내성균 감시체계를 구축해야 하는데, 감시에 필요한 배양검사나 유전자 검사를 필요할 때 적절하게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엄 위원장은 “결국 큰 틀에서 변화가 필요하다. 조각조각 해결해서는 변화하기 어렵다"며 "격리실을 확충하고 중환자실과 병동의 다인실 정책을 전면 재고해야 하며, 의사 및 간호인력을 선진국 수준으로 충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엄 위원장은 “영국에서 진행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2050년경이면 항생제 내성으로 인해 연간 1,000만명이 사망한다고 한다. 사실상 재앙 수준”이라며 “지금 우리나라도 통계가 정확하지 않지만 연간 3,000명 정도가 (항생제 내성으로) 사망하고 있다. 지금 혁신하지 않으면 가까운 미래에 재앙을 맞이 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세계보건기구(WHO)는 항생제 내성 극복을 위해 사람, 가축, 식품, 환경분야를 포괄한 다양한 분야의 노력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이런 인식 확대를 위해 2015년부터 매년 11월 셋째주를 ‘세계 항생제 내성 인식 주간’으로 지정해 각 국가별 캠페인 실시를 권고하고 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