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아 회장 “저출산‧고령화 시대 맞는 인력 수급 정책 필요…치매국가책임제에 의사 역할 늘려야”

고령화 시대를 맞아 늘어나는 치매 및 파킨스 등의 환자를 전문으로 진단·치료할 수 있는 신경과 의사 수를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신경과의사회 이은아 회장은 지난 24일 밀레니엄 힐튼호텔에서 열린 ‘제30차 춘계학술대회’ 기자간담회에서 치매국가책임제에 대한 입장을 전하며 이같이 말했다.

이 회장은 “노인인구는 계속 늘어나고 있고 노인들 대부분은 뇌와 신경계에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면서 “이를 전문적으로 진단하고 치료하는 과가 바로 신경과”라고 운을 뗐다.

하지만 “신경과 전공의 한 해 정원은 90명도 채 안 된다”면서 “고령인구 증가로 신경과 의사가 더 필요한 상황에서 신경과 의사를 늘리지 않는 건 모순”이라고 지적했다.

이 회장은 “대한신경과학회도 보건복지부에 전공의 증원을 요청하고 있지만 신경과가 신생과라 전공의 정원이 늘지 않는 것 같다”면서 “신경과가 마이너처럼 보이지만 응급실에서는 메인과들 만큼 일을 한다. 현재는 사명감을 가진 의사들이 지원하고 있는데 향후에도 이런 추세가 계속 이어질지 모르겠다”고 우려했다.

이 회장은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맞는 의료인 배출 정책이 필요하다”면서 “국가가 신경과에 대한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또 정부가 치매국가책임제 추진에 있어 신경과 의사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고 의사들에게 더 많은 역할을 부여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회장은 “정책 추진에 있어 처음보다는 신경과 의사들의 의견이 잘 반영된다”면서도 “하지만 아직 우리가 원하는 수준에는 못 미친다”고 토로했다.

이 회장은 이어 “치매안심센터의 경우 행정적인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보건소장들이 센터장을 맡고 있고 사업에 참여하는 의사들은 협력의사 신분에 불과하다”며 “참여하는 의사들에게 부센터장 등의 직함을 부여하고 역할을 더 줘야한다. 이를 건의했는데 아직까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치매국가책임제에 신경과 의사들이 더 많이 참여할 수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신경과 의사 입장에서 치매국가책임제가 정말 잘 됐으면 좋겠다”면서 “정부가 전문가인 의료인들을 조금 더 파트너로 생각하고 함께 가줬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