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학회, 투석환자 생존율 향상 위해 제도 필요성 역설

만성신질환을 초기에 관리해 말기신부전으로의 진행을 막고, 투석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국가가 체계적으로 예방과 관리를 할 수 있는 법과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대한신장학회는 23일 서울 용산구 서울드래곤시티에서 국제학술대회(KSN 2019)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같이 지적하며, "만성신부전 관리 법안을 마련하기 위해 학회 산하에 TF팀을 꾸린 상태"라고 밝혔다.

대한신장학회 국제학술대회(KSN 2019) 기자간담회

학회에 따르면 국내 혈액투석 환자와 그로 인한 진료비는 매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제5차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 결과'를 보더라도 2015년 기준 만성신부전으로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수는 7만9,423명으로 2011년 대비 26.1% 증가했다. 혈액투석 진료비 역시 총 1조9,781억원으로 2011년보다 36.7% 늘었다.

8만명에 달하는 환자가 연간 약 2조원 의료비를 지출하며 투석 치료를 받고 있지만, 여전히 전문적인 치료는 보장되지 않고 있다.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에서 평가 대상 기관인 799곳 중 23.7%에 해당하는 189곳에는 혈액투석 전문의가 전무했다.

요양병원의 경우 95개 평가대상 기관 중 58곳(61%)이 혈액투석 전문의 없이 투석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다. 학회는 전문적인 치료가 보장되지 않는 이유로 말기신부전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제도적인 틀이 없다는 점을 들었다.

2015년부터 4차에 걸쳐 인공신장실 인증평가를 자체적으로 실시하고 있는데, 국내 인공신장실 설치 기준이 없어 불법적이고 비윤리적인 인공신장실도 만연하다는 게 학회의 주장이다.

그나마 인공신장실의 질 관리를 위해 표준 치료지침을 권고하고 평가를 실시하면서 질이 나아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1차에 60%에 그쳤던 인증률은 현재 80%까지 상승했다. 5월 현재 기준 전국 245개 인공신장실이 학회 인증을 통과했다.

하지만 학회는 이에 더해 국가적으로 관리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증평가를 진행해온 학회 투석위원회 이영기 이사(한림의대 신장내과)는 "인공신장실 인증평가가 국내 투석 치료의 표준화에 기여한 것은 사실이지만, 학회의 권고와 인증에 대한 각 기관의 자발적인 참여로는 안전한 투석치료를 보편적으로 보장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학회는 만성신질환 관리 법안을 제정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이 교수는 "관리 법안이 제정되면 말기신부전환자 등록 및 통계사업, 인공신장실 인증 관리, 말기신부전 에방과 관리, 연구 등에 관한 정책을 종합적으로 수립해 시행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하루빨리 효율적인 관리시스템을 통해 투석치료로 인한 개인적 고통과 사회적 부담을 줄이고, 나아가 의료 발전과 국민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김연수(서울의대 신장내과) 이사장은 "투석 환자의 5년 생존율이 현재로서는 매우 낮은 상황이라 어떻게 하면 이들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을지, 또한 콩팥이 나빠지는 것을 사전에 예방해 투석 치료를 덜 받게 할 수 있는지를 고민하다 보니 법안을 제정하자는 의견이 모아졌다"며 "암이나 심혈관 관리 등을 벤치마킹하여 초안을 작성 중인데 이후 법안이 현실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신장학회가 국제 학술대회로 전환해 개최하는 KSN 2019에서는 'Peaceful kidneys, Save lives'라는 슬로건 하에 신장학 분야의 다양한 연구결과들이 공유된다. 26일까지 개최되는 이번 국제 학술대회에는 국내외 12개국에서 약 532편의 초록이 접수됐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