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요법연구회, ASCO 2019 토대로 항암치료 트렌드 분석

전문가들이 면역항암제가 기존 세포독성항암치료 대비 독성 관리가 용이한 장점을 십분 살려 수술전 항암치료(neoadjuvant, 선행항암치료) 및 초기 병기 사용이 확대, 암치료의 수술 성적은 물론 암환자의 전체생존율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대한항암요법연구회는 19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최근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임상종양학회 연례학술대회(ASCO 2019)에서 발표된 최신 임상연구를 바탕으로 항암치료 트렌드를 설명했다.

이날 첫 번째 발표를 맡은 강북삼성병원 종양혈액내과 이윤규 교수는 "최근 ASCO와 같은 국제학회에서도 암치료에 있어 진단과 치료에 관련된 전문가인 외과, 종양내과, 방사선종양학과, 영상의학과, 핵의학과, 병리과 전문의들이 모두 모여 치료법을 결정하는 다학제적 접근을 강조하며 치료 방향에도 많은 변화가 생기고 있다"고 말했다.

다학제적 암치료가 도입되며 일반적으로 수술 후 미세전이 병소를 제거하기 위해 쓰던 보조 항암치료를 수술전에 시행하는 '선행항암치료'가 발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윤구 교수는 "또한 새롭게 등장한 면역항암제가 4기 전이암 치료를 위해 사용되다가 최근에는 수술이 가능한 병기인 1~3기 초기 암환자들에게 사용되며 그 역할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윤구 교수는 "이미 직장암, 유방암 등과 같은 분야에서는 선행항암치료 후 수술, 보조항암치료 순으로 진행하는 치료법이 정립된 상황"이라며 "최근에는 대장암, 폐암, 비인두암, 육종과 같은 암종에서도 선행항암치료를 진행하고 있고, 이번 ASCO 2019에서도 관련 연구 데이터들이 대거 발표됐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폐암은 1기 환자라고 할지라도 5년 생존율이 70% 정도인 치명적인 암으로 현재까지 수술 후 보조항암치료로는 5% 정도의 5년생존율만을 개선할 수 있었다"며 "1~3기 폐암 환자에서 '니볼루맙'으로 선행항암치료를 진행한 연구 결과, 절반 가까운 환자에서 주요 병리학적 관해율이 나타나 수술이 용이한 상태로 호전된 것을 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해당 연구는 아직 초기 임상 결과로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등을 살펴보기 위해 시간이 더 필요하다"며 "하지만 현재까지의 흐름상 향후 몇 년 이내에 1~3기의 초기 암에서도 면역항암제가 보다 활발하게 사용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면역항암제는 기존 세포독성항암치료에 비해 비교적 독성 관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선행항암치료가 부담스럽지 않은 장점이 있다"며, "최근 항암치료 트렌드는 이러한 치료제들을 이용한 선행항암치료를 통해 수술 성적은 물론 전체생존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두 번째 발표를 진행한 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김미소 교수는 암치료에 정밀의학시대를 불러온 바이오마커 관련 연구들에 대해 소개했다.

김미소 교수는 "암 정밀의학으로의 큰 패러다임 변화와 더불어 임상연구에서 바이오마커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며 "이번 ASCO 2019에서도 바이오마커에 기반한 신약 임상연구와 약제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에 대한 연구 결과들이 다수 발표됐다"고 언급했다.

김미소 교수는 이번 ASCO 플레너리 세션에서 발표된 4개 연구 중 하나인 POLO 연구를 소개했다. POLO 연구는 생식세포(germ line) BRCA 돌연변이(이하 gBRCAm)를 가진 전이성 췌장암 환자에서 1차 유지요법으로서 '올라파립'의 효과를 확인했다.

유전성 유방암, 난소암을 유발하는 gBRCAm는 전이성 췌장암 환자의 약 7%에서 발견되는데, gBRCAm이 있는 전이성 췌장암 환자 중 최소 16주 이상 백금 기반한 항암치료를 받고 질병이 진행하지 않은 환자를 대상으로 PARP(Poly ADP-ribose polymerase) 억제제인 올라파립을 투약한 결과 위약군과 비교하여 우수한 무진행생존을 입증한 것이다.

김미소 교수는 "반응지속기간 역시 올라파닙 치료군에서 24.9개월로 위약군에서의 3.7개월에 비해 월등한 결과가 나왔다"며 "전이성 췌장암에서 바이오마커를 찾아 표적치료를 시행해 성공한 첫 번째 연구로 그 의미가 매우 크다"고 강조했다.

또 "이번 ASCO 2019에는 전이성 전립선암 환자의 암세포에서 BRCA를 포함하여 DNA 손상 반응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에 돌연변이가 있을 때 올라파립의 우수한 종양 반응을 보여준 TOPARB-B 연구 결과도 발표돼, 전이성 전립선암에서 첫 표적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덧붙였다.

김미소 교수는 "바이오마커 전략을 사용한 임상연구를 토대로 일부 폐암이나 유방암 등에서 획기적인 생존율의 향상이 있었다"며 "하지만 여전히 미충족 수요가 큰 전이암 환자에서 새로운 바이오마커의 발굴과 이를 토대로 한 임상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