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정 신임 상근부회장 “업계 긍정적 인식 위해 ‘성장 가능성이 큰’ 등으로 바꿔야”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는 ‘작고 가늘어 변변하지 못한다’라는 뜻을 가진 ‘영세하다’라는 말을 가급적 사용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협회 김명정 신임 상근부회장은 지난 10일 취임 기자간담회에서 국내 의료기기업계를 설명할 때 사용되는 ‘영세’라는 표현이 업계 전반에 대해 부정적 이미지를 불러온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명정 부회장은 “‘성장 가능성이 큰’, ‘규모는 작지만 강점이 있는’ 등 수식어가 길어지더라도 우리 기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할 수 있도록 용어를 가려 쓰기로 했다”며 “의료기기업체들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해당 기업들의 어려움과 처지에 따라 지원이나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지난해 발간한 '2017 의료기기산업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주요 의료기기업체 777개 중 중소기업이 759개(97.6%)로 가장 많고, 중견기업 15개(2.0%), 대기업이 3개(0.4%)였다. 제품 생산액 규모로 살펴보면, 생산액이 10억원 미만인 업체가 2016년 2,330개로 전체 제조업체의 79.2%를 차지했으나, 이들의 생산액은 3,652억원으로 전체 생산액의 6.5%에 그쳤다. 반면 생산액이 10억원 이상인 업체는 613개이며 이들의 생산액은 5조2,378억원으로 전체 생산 액의 93.5%를 차지했다.

김 부회장은 의료기기 관련 정부 조직 및 인력 부족을 지적하기도 했다.

김 부회장은 “의료기기업계가 공통적으로 수혜를 받을 수 있는 부분은 신속한 인허가를 통한 시장 출시”라며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정부가 지속 가능한 의료기기 발전을 위한 인력과 조직을 충분히 마련했는가 물으면 ‘그렇지 않다’라고 답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인공지능, 로봇, 3D프린팅 등의 기술이 출현하고 확산되는 시점이지만 핵심 기술을 융합한 의료기기를 심사할 전담조직이 부족하다”며 “특히 소프트웨어 기술이 주를 이루는 디지털헬스 제품이나 유전자 진단 제품 등 혁신 제품은 하루빨리 허가·사후관리 조직과 인원이 보강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김 부회장은 임기 내 목표로 ▲혁신 제품에 대한 시장 진출과 급여 확대 ▲의료기기 관련 정책 개발 및 제안 과제 발굴 ▲의료기기업계가 필요로 하는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정부인증 교육 확대 ▲전시회 등을 통한 제품 홍보 활성화 등을 꼽았다.

한편, 김명정 부회장은 보건복지부 약품안전과를 시작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안전평가과장, 경기인천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의료제품안전과장 및 임상제도과장을 거쳐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전략기획본부장을 역임하고 4차산업혁명 미래발전추진단에서 활동했다. 다음달 1일부터 3년간의 임기 동안 협회 사무처를 총괄한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