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감염병 전달체계 통해 경증·중증 선별하는 투트랙 전략 요구
"감염병 대응 패러다임 바뀌어…늦어지면 초기대응 성과 물거품 될 수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환자가 폭증하면서 지역사회 감염 단계로 빠른 속도로 진입한 가운데 코로나19 대응 방향을 봉쇄전략(Containment Strategy)에서 완화전략(Mitigation Strategy)으로 신속히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

감염병 의료전달체계를 재정비 하고 의료기관 간 역할과 임무를 조정하는 등 태세전환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경증환자는 자가 격리를, 중증환자는 선별해 입원·치료하는 방향으로 재편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병원협회 비상대응본부 실무단장인 이왕준 명지병원 이사장은 “이제 지역사회 감염 2단계로 진입한 이상 방역 전략을 새롭게 구성하고 신속히 재편해야 한다. 늦어지면 1단계 초기대응이 잘 이뤄져 얻은 성과가 물거품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 이사장은 “(지역사회) 단계에서는 감염된 사람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1단계처럼 모든 사람을 격리 수용할 수 없어진다”며 “진단키트를 활용해 숨어 있는 환자들을 찾아내는 게 중요하고 경증환자는 자가 격리를, 중증환자는 선별해 병원에 입원·치료해야 한다”고 했다.

이에 ▲보건소를 다량의 검체채취가 가능한 ‘스크리닝 센터’로 구축하고 ▲선별지료소와 별도로 ‘호흡기전용외래’를 운영할 수 있는 안심병원을 지정해 운영하며 ▲안심병원 중 지역거점병원은 선별진료소를 운영하며 중증환자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이 이사장은 “코로나19 검체채취 과정은 단순하지 않다. 격리공간에서 최소 5종 보호 장비를 갖추고 검체채취를 하는 과정에서 병목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보건소가 다량의 검체채취를 소화할 수 있게 스크리닝 센터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이사장은 “선별진료소와 별도로 안심병원을 지정해 호흡기전용 외래를 지정해 트리아지(환자 분류) 센터를 운영하도록 해야 한다”며 “나아가 안심병원 가운데 지역거점병원은 선별진료소를 운영하면서 중증환자를 관리하게 해야 한다”고도 했다.

또 “대형병원이나 지역거점병원으로 코로나19 환자가 몰리지 않도록 해 병원과 의료인을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며 “메르스(MERS) 때 얻은 교훈이었기 때문에 병원과 의료인을 보호해야 이번 사태의 확산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대구로병원 김우주 교수도 “(감염병 대응의) 패러다임이 바뀐 상황”이라며 “지금이라도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지금까지는 접촉자를 추적해 확산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방식이었다면 지역사회 감염으로 진입한 지금은 ‘2단계 완화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도 “코로나19 환자에 대한 의료전달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며 “경증 환자는 자택에서 자가 격리를 진행하고 중증 환자는 상급종합병원 등 국가지정격리병상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전달체계를 만들어 대형병원으로 코로나19 환자들이 몰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