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강원대병원 연구팀, 생활치료센터 운영 및 코로나19 확진자 치료과정 JKMS에 발표
의료진과 환자 간 교차감염 막기 위한 음압시설 설치 및 비대면 소통방식 활용…“비용효과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경증환자를 격리·치료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에서 처음 도입된 생활치료센터가 한정된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보건복지부와 강원대병원 연구팀은 생활치료센터에서의 코로나19 확진자 치료과정을 담은 논문(Out-of-Hospital Cohort Treatment of Coronavirus Disease 2019 Patients with Mild Symptoms in Korea: an Experience from a Single Community Treatment Center)을 대한의학회가 발행하는 4월 6일자 국제학술지 ‘JKMS(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에 발표했다.

강원대병원 연구팀은 경북 구미에 위치한 사기업 소유의 기숙사 건물을 ‘경북대구7 생활치료센터’로 개조하고, 입소한 경증환자 309명에 대한 관리 및 치료결과를 논문을 통해 보고했다.

Illustration of Gyeongbuk-Daegu 7 CTC. Arrows indicate the movement direction of healthcare providers. CTC = community treatment center.

생활치료센터, 어떻게 운영되나?

경북대구7 생활치료센터에는 강원대병원 의사 7명, 간호사 5명, 방사선사 1명 등 총 13명으로 구성된 의료진들이 지원에 나섰으며, 보건복지부에서 공중보건의사 7명, 자원봉사로 참여한 간호사 12명, 간호조무사 12명이 투입됐다.

의사는 2교대 시스템으로 능동적인 환자 감시와 검체 표본 수집을 맡았고, 간호사들은 3교대로 의사들의 업무를 지원했다.

의료진들과 환자들 간 교차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클린존(Clean zone)'을 운영했으며, 의료진들이 '환자구역(patients' zone)'으로 들어갈 때는 후드와 고글, N95 마스크, 장갑, 방호복 등 보호장구를 착용하도록 했다.

또 환자들 간 교차감염을 막기 위해 환자는 배정된 방에 머무르도록 했으며, 환자구역에는 증상이 있는 환자를 검사하기 위한 이동식 방사선 촬영시설과 의료진들이 업무를 볼 수 있는 사무공간 등 2개의 음압실을 설치했다.

의료기관이 아닌 생활치료센터 운영을 위해 강원대병원이 제공한 통신 시스템, 디지털 건강정보 시스템을 활용해 코로나19 검사 및 흉부 엑스레이 촬영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또 해열제 등 증상치료를 위한 치료약도 강원대병원을 통해 지급 받았다.

흉부 엑스레이 결과 폐렴과 같은 병변이 나타나거나 산소포화도 저하가 감지되면 치료를 받기 위해 병원으로 이송했다.

입소 환자들은 매주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 tim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RT-PCR, qRT-PCR)’ 검사를 받았다. 검사결과가 음성이면 24시간 후 재검사를 실시했으며, 음성이 확인될 경우 질본 지침에 따라 퇴소가 결정됐다.

모든 의료진들은 스스로 하루에 두 번 호흡기 증상 여부를 확인하고 체온을 모니터링 했다.

생활치료센터 환자 진료, ‘비대면 소통 방식’ 활용

생활치료센터 입소 기준은 rRT-PCR 검사결과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환자로, 질병관리본부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입소가 결정된다. 심부전 또는 만성 신장질환과 같은 만성중증질환, 고열 또는 호흡곤란이 있는 경우 생활치료센터 입소가 불가능하다.

의료진은 입소 초기 경증환자들의 증상과 기저질환 여부를 확인한다. 특히 55세 이상 환자의 경우 무증상 폐렴을 배제하기 위해 흉부 엑스레이(X-ray) 촬영을 실시했다.

입소한 경증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루에 두 번 체온 측정이 이뤄졌다.

이때 환자와 의료진 간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환자들이 체온을 직접 기록할 수 있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했으며, 모바일 앱 사용 경험이 없는 환자들은 전화를 통해 의료진과 소통하도록 했다.

Monitoring body temperature and symptoms of patients using specialized mobile application (inPHR®, SoftNet, Seoul, Korea).

생활치료센터 환자 치료과정서 우울증 등 호소

경북대구7 생활치료센터 입소 환자 309명 중 124명(40.1%)은 남성이었고, 평균 연령은 31세(범위 7~77세)로 집계됐다. 이 중 18세 이하 환자는 12명(3.9%)이다.

환자 10명 중 4명은 독립된 공간에서 치료 받았다. 125명(40.4%)은 독방을 사용했고, 184명(59.6%)은 각각 방이 배정됐으나 공동공간을 사용했다. 이들 184명 중 32명(10.4%)은 친척이었다. 또 코로나19로 진단되고 평균 7일(3~14일) 이후 생활치료센터로 입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상은 기침(50명, 16.2%)과 콧물(49명, 15.9%)이 가장 많았고, 가래(39명, 12.7%), 인후통(24명, 7.8%), 흉부 불편(12명, 3.9%) 등의 증상을 호소했다.

절반이 넘는 176명(57.1%)은 입원 당시 무증상으로 확인됐다.

치료과정에서 우울증과 걱정, 불면 등을 포함한 정신과적 증상이 증가하면서 연구팀은 강원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협력해 모바일 앱을 사용한 원격상담 서비스를 도입했다.

이외에 코피와 근골격계 통증 등 비정형적인 증상이 나타나기도 했지만, 정신상태변화, 실신, 극심한 호흡곤란 등 응급의료조치가 필요한 증상은 보고된 바 없다.

환자 중 7명(2.3%)은 입소 후 평균 3.5일(범위 0~7일) 후 병원으로 이송됐다. 폐렴(2명), 만성 폐쇄성 폐질환(1명), 미열(1명), 자살과 같은 극심한 정신의학적 문제(1명), 환자의 이송 의지(2명) 등이 이유다.

의료기관 아닌 생활치료센터, 문제점은?

의료기관이 아닌 공간을 코로나19 확진자 격리시설로 개조해 활용하는 만큼 곳곳에서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감염을 차단하기 위한 음압시스템이 없는 만큼 교차감염 예방을 위해 보호장구를 수시로 교체해야 했지만 자원부족으로 이같은 프로토콜이 엄격하게 지켜지지 않았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또 모든 환자들이 독립된 공간을 제공받지 못한 점도 한계로 지적됐다. 퇴소환자가 나오면 독립된 공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방을 다시 배정해 주는 방식이다.

연구팀은 특히 초기 입소 과정에서 증상이나 연령 등 제한된 기준에 따라 환자를 입소시키다보니 고위험군 여부를 가릴 수 없었고, 흉부 엑스레이 촬영 결과로 고위험군을 식별해 병원으로 이송해야 했다고 전했다. 그러다보니 각 환자의 위험요인과 질병의 심각성에 대해 사전에 충분히 파악하지 못했다는 것.

연구팀은 “코로나19 성격과 위험인자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면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한 환자들의 상태를 식별하기가 더 쉬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그러나 생활치료센터가 팬데믹(Pandemic) 상황에서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비용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경증환자로 인한 병상포화로 중증환자들이 입원을 기다리다 사망할 수 있다"며 “지역사회에 이미 존재하는 시설과 센터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다른 나라들도 이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연구팀은 “선별 방법과 입퇴원 기준 방법 등은 센터마다 크게 다르다. 더 많은 데이터와 경험이 축적된다면 표준화된 평가 및 치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