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J 사설 “한국 ‘검사-추적-격리’ 전략 시행, 영국은 중도 포기”

‘2.4% vs 14.1%’. 한국과 영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망률이다. 이처럼 한국이 영국보다 현격히 낮은 사망률을 보이는 이유는 ‘검사-추적-격리’ 전략을 채택해 꾸준히 시행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영국에서 나왔다.

28일 영국의학저널(British Medical Journal, BMJ)에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사설이 게재됐다. ‘영국은 한국의 코로나19 접근법을 따라갈 수 있을까’라는 제목으로 실린 사설은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Imperial College London) 아짐 마지드(Azeem Majeed) 교수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서용석 교수가 함께 썼다.

BMJ 사설에 따르면 한국과 영국 간 코로나19 대응 방식의 차이가 사망률 격차를 불러왔다. 한국은 ‘검사-추적-격리’ 전략을 신속하게 채택하고 꾸준히 시행한 반면, 영국은 이를 중도 포기했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한국은 질병이 의심되는 사람들을 검사하고 접촉 여부를 확인하고 엄격한 격리를 시행했다. 확진자를 무료로 치료해준다”며 “영국은 대유행 초기에 제한적인 검사를 실시한 후 3월에 접촉자 추적과 지역사회 검사를 포기했다. 이같은 정책이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 급증에 기여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국의 코로나19 대응에는 정보통신기술(IT)도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한국은 코로나19 유행 초기부터 스마트폰을 사용해 신속한 검사와 접촉자를 추적해 온 반면 영국은 아직도 제대로 활용되지 않고 있다. 영국은 최근 잉글랜드 남부 아일오브와이트주(와이트섬)에서만 접촉자 추적 앱을 시범적으로 도입했다.

마스크 사용에서도 양국의 대처는 달랐다. 한국은 마스크 착용을 권고하고 지하철 등에서 의무적으로 착용하도록 했다. 또 마스크가 충분히 공급될 수 있도록 정부가 물량을 확보하고 통제했다.

연구진은 “영국 정부는 수학적 모델에 크게 의존했고 과학이 주도하는 정책을 채택했다. 그러나 이로 인해 결정적인 증거가 없다며 마스크 착용에 대한 정부 개입이 지연됐다”면서 “한국은 증거가 불충분해도 예방 원칙에 근거해 더 빠른 결정을 내렸다”고 지적했다.

지난 2015년 메르스(MERS) 사태가 한국에 약이 됐다는 평가도 내렸다. 한국은 코로나19와 같은 코로나바이러스인 메르스를 경험해 영국보다 빠르게 대응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영국이 검사와 추적 체계를 다시 가동했지만 한국의 접근 방식과는 다르다”며 “코로나19 감염이 의심되는 모든 사례나 취약한 집단을 전부 검사하기에는 역량이 부족하며 접촉자 추적 시스템도 미흡하다”고 비판했다.

연구진은 “검사-추적-격리 시스템에 필요한 모든 요소가 제대로 갖춰지고 작동해야만 영국이 코로나19를 통제하는 한국의 성공적 접근 방식을 따라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