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경만 대표 “성체 줄기세포 위주 연구 탈피해야”…재생의료 활성화 방안 제언

“재생의료는 미래 대한민국을 좌우할 핵심가치가 될 것입니다.”

과학기술전략연구소 유경만 대표는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20일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개최한 ‘제2기 재생의료지원사업 공청회’에서 재생의료 활성화 방안에 대해 이같이 제언했다.

유 대표는 “첨단 재생의료기술은 국민건강복지 실현과 국가경제발전을 이끌어 갈 핵심기술”이라며 “고령화로 인한 의료비 증가 및 난치병 치료 등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대안으로 그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전 세계는 지금 첨단재생의료 기술 및 시장 선점을 위해 적극적으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며 “2015년 기준 글로벌 첨단재생의료 시장은 138억달러 규모로 형성됐고 2021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23.7%의 빠른 성장추세를 보이며 494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유 대표는 “우리나라의 경우 첨단재생의료에 대한 선제적 투자에도 불구하고 기초-원천 및 상용화 관련 기술 등에 대한 주요 선진국과의 격차로 인해 글로벌 주도권 상실 위기에 놓여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국내 첨단재생의료의 기술혁신 및 유관 산업의 지속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전략적 기획이 필요하다”면서 “특히 성체 줄기세포 위주의 연구개발 편중에서 탈피해 다양한 기술이 접목된 융합기술제품 등 다각화 전략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 대표에 따르면 2014년 기준 국내 성체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투자는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 배아줄기세포와 역분화줄기세포의 연구 비중은 각각 20% 미만에 불과하다.

유 대표는 “국내 줄기세포 치료제의 경우 성체 줄기세포 치료제 연구 분야에 편중되고 있고 재생의료기반기술 발전 수준 또한 미미한 수준”이라며 “최근 재생의료 활성화를 위한 기반 인프라를 확대하고 있지만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투자 규모를 지속적으로 늘려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희귀·난취성 환자의 구제를 조기에 실현하기 위해, 학술적 연구 성과가 상용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기업과 연구자가 상생하는 연구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며 “2015년 기준 국내 전체 승인 건수의 22.2% 수준에 불과한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 승인을 미국, 프랑스 등 선진국 수준으로 올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기초연구의 성과 확산을 위한 응용·개발 연구의 비중 확대도 함께 이뤄져야 하다”면서 “기초연구에서 성과 내는 것 이상으로 상용화도 중요하다. 이를 위한 개발연구에 집중 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보건복지부가 오는 2019년부터 시행하는 제2기 재생의료지원사업에 이같은 내용이 빠지지 않고 포함돼야 한다”며 “재생의료는 미래 대한민국을 좌우할 핵심가치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복지부는 오는 2019년부터 7년간 총 333개 과제에 5,014억원(예정) 규모를 지원하는 ‘제2기 재생의료지원사업’을 시행한다.

재생의료지원사업은 ▲세포치료기술 (2,199억원, 135개 과제) ▲유전자치료기술 (621억원, 39개 과제) ▲조직공학치료기술 (1,195억원, 72개 과제) ▲ 재생의료기반기술 (999억원, 87개 과제) 등 4대 전략 분야로 나뉘어 집중 육성된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