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대 김윤 교수, 정부 권역외상센터 지원방식 바꿔야…“수가로 대부분 비용 보상하는 방식”

‘골칫덩어리’로 전락한 권역외상센터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외상센터만의 고유 수가를 신설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돼 주목된다.

지난 2018년 7월 중증외상환자 진료특성을 반영한 외상환자 관리료와 전문의 진찰료가 신설되고 외상전담전문의에 의한 수술 시 가산해 주는 등 수가체계가 개선됐지만 수가 일부는 여전히 낮다면서 정부가 권역외상센터에 대한 지원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다.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김윤 교수는 “권역외상센터 환자 진료비용을 수가와 지원금으로 메꾸고 있다”며 “하지만 수가가 낮다보니 인건비로 나가는 지원금이 낮은 수가로 인한 적자 대부분을 메꿔주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같은 수가 코드에 외상센터에서 진료하는 비용과 외래나 입원해서 진료하는 비용이 다르기 때문에 가산을 하게 되면 가산의 크기가 너무 커져 정부는 수가로 해결할 수 없다고 핑계를 대고 있다”고도 했다.

이에 김 교수는 권역외상센터의 별도 코드를 신설해 수가로 대부분의 비용을 보상하고 인건비로 지원되는 비용은 낮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별도 코드를 만들어 수가로 대부분 비용을 보상하고 인건비는 기본 운영비 성격을 가져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일부 외상센터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경증환자만 주로 보려고 하거나 적극적으로 외상환자를 진료하지 않으려는 문제들이 개선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정부가 적절한 보상을 해줘야 하고 그 바탕에는 의료진들이 환자를 책임지려는 의식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본원과 권역외상센터 간 의존적인 관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병원장이나 기획실장, 부원장 등 관리자들이 외상센터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태도 변화가 있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권역외상센터가 수익도 나고 인정 받을 수 있는 구조가 돼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