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청년의사 신문 남두현] 함께 수술방에 들어가고 환자의 생명을 살리는데도 일조하지만, 정작 환자는 기억하지도 알지도 못하는 의사들. 먼발치에서 환자들이 무사히 퇴원하는 것만 봐도 흐뭇하다는 의사들. 이들은 바로 마취통증의학과 의사들이다. 그 중에서도 전국 최강의 의국 분위기를 자부하며, 자칭 ‘수술방을 조율하는 지휘자’라는 중앙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의국원들이 이번 의국탐방의 주인공이다.


2년차 이연실·이명섭 선생, 3년차 윤일재 선생, 4년차 김동림(의국장)·김민경 선생, 1년차 임세호·이승혁 선생, 3년차 이오행 선생이 바로 그들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수술에 관여하는 과의 특성상 인터뷰 중에도 멤버들 중 일부는 수시로 수술방과 의국원을 오갔고, 그나마 1년차 임세호·이승혁 선생, 3년차 이오행 선생은 수술이 길어져 함께 자리하지도 못했다.

가풍 아닌 의풍(醫風)은 전국 최고

의국탐방의 공식 질문(?)인 “의국 분위기는 어떤가요”라고 묻자, 의국원들은 이구동성으로 “가족”이란 단어를 꺼내든다.

"굉장히 가족적이고 화목해요. 전공의들 간에도 그렇고 교수님이 대해주시는 것도 그렇고요. 심지어 의국의 분위기를 보고 들어오는 사람이 더 많을 정도에요. 이런 가족적인 분위기가 의국의 전통이라 말해도 될 것 같네요.”

한 목소리 내는 의국원들을 흐뭇하게 바라보던 김동림 의국장이 기자에게 그 이유를 설명해 준다. 이 말이 끝나자 마자 윤일재 선생이 맞장구를 치며 힘을 보탠다.

“힘든 전공의 일을 거치고 나면 성격이 변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전공 선택시) 4년 뒤 변해있을 내 모습을 생각하니 마음이 좋지 않았어요. 그래서 서로 존중하면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곳이 어디일지를 고민하다가 이곳을 선택했습니다.”

이연실 선생도 의국 분위기를 우선순위에 두고 이곳에 왔단다. 더해 중대병원 마통과가 제일이라는 동기 이명섭 선생의 꼬임(?)도 있었다고. 그러자 이명섭 선생의 해명이 이어진다.

“정말 의국 분위기는 전국 최고에요. 호칭은 서로 선생님이지만 선배나 후배 모두 형 동생처럼 느껴진다니까요.”

가족 같은 분위기를 가진 의국에 대한 자부심은 비단 현 전공의들만의 것이 아니었다. 일이 있어 의국에 잠깐 들렀던 김원중 교수도 증언에 동참했다.

“제가 다른 전공의들보다 많은 나이로 의국생활을 시작했어요. 그러자 나이 어린 선배들과 문제가 있을 것을 우려한 한 선배가 저에게 당부하더군요. ‘우리 의국 분위기는 전국 최강이니 네가 망치면 안 된다’고요."

분위기만 최고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그 배경엔 넉넉한(?) 실력과 인성이 뒷받침하고 있다.

어느 날 이연실 선생이 갑작스럽게 뇌출혈 응급환자 수술이 잡혀 부리나케 준비를 하고 있는데, 신경외과 선생이 다가오더니 ‘마취과 선생님 미안해요’라는 말을 전하더란다.

알고보니 환자가 출혈이 많았고, 향응고제를 장기간 복용해 지혈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등 상황이 좋지 않아 사망할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졌던 까닭이었다.

이에 이연실 선생은 간호사에게 ‘마음의 준비를 하자’고 말을 건넨 뒤, 둘은 새벽 1시부터 5시까지 꼼짝도 안 하고 서서 환자에게 피를 공급하면서 비상사태에 대비했다고. 다행히 환자는 주위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무사히 수술을 마칠 수 있었단다.

이렇듯 거의 모든 수술에 관여하고 많은 응급상황을 겪으며 환자를 살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때도 적지 않지만, 그 사실을 알아주는 환자는 거의 없다. 섭섭할 법도 할 텐데, 이들은 환자들이 무사히 수술을 마치고 걸어나가는 모습을 보는 것만으로 만족한다고 입을 모았다.

타과에 하고픈 말…“오해는 금물”

의국 분위기는 전국 최고에 일에 대한 성취감도 좋고…. 정말이지 자랑만 계속돼 정녕 불만이 없냐고 묻자.

“창문이 없으니 폭풍우가 쳐도 우리는 알 수가 없어요.”

“해 뜨기 전 출근해 수술방에만 있으니 바이오리듬이 깨지는 것 같아요.”

이연실 선생과 이명섭 선생이 그리 납득되지 않는 ‘불만사항’을 이야기한다.

중앙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는 아침 7시 회의를 시작으로 오후 4시에 정규 수술시간이 종료된다. 연장되는 일이 많아 실제론 5시가 퇴근시간이다. 외래마취 등을 제외하곤 모든 일과가 수술방에서 이뤄지다보니 해를 보기가 쉽지 않단다. 그런데, 그조차도 긍정적으로 보는 이가 의국의 정신적 지주라는 김민경 선생이다.

“피부 미백에는 좋던데요?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해 1년 내내 휴가처럼 지내고 있어요.”

동료들의 계속된 자랑에 웃음을 짓던 김동림 선생이 잠시 진지모드(?)로 돌아선다.

“마취통증의학과는 수술방을 총괄하는, 수술방이란 오케스트라 지휘자지요. 하지만 수술방 조율 과정에서 자신들을 괴롭힌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 것 같아요. 모든 과를 만족시킬 수 없기 때문인데, 그런 소리를 듣게 될 때는 조금 섭섭해요.”

마취통증의학과에서 각 진료과들의 수술방 일정을 관리하며 중요도에 따라 수술방을 배치하지만 일부에선 오해의 시선을 보내기도 한다는 말이다. 대부분 자신들의 수술이 우선시 되길 바라기 때문에 생기는 오해란다.

“응급 우선순위에 따라서 수술방을 배치해요. 이 순간이 아니면 위급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순서로 배치를 하는 거죠. 하지만 의사는 자기 환자가 가장 중하잖아요. 그러다보니 환자보다 의사를 대하는게 더 어려울 때가 많아요.”

김민경 선생이 기자의 이해를 돕고자 부연설명을 해주며 한숨을 내쉰다.

빼놓을 수 없는 ‘럭셔리’한 회식

이들은 한 달에 한번 노고를 풀기 위해 회식자리를 갖는데, 회식의 컨셉은 ‘럭셔리’란다.

“과장님(정용훈 교수)이 맛집을 찾아 장소를 정해요. 그러면 가서 맛있는 음식을 먹으면 되요. 술은 권하지 않고 먹고 싶은 사람만 먹는, 럭셔리한 회식입니다. 보통 회사원들은 회식에 가기 싫어하지만 과장님은 그런 회식을 만들면 안 된다며 적극적으로 맛집을 알아보세요.(웃음)”

김동림 선생은 이어 의국원들의 먹을거리에 대해선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고 ‘특히’ 강조한다. 실제로 의국 냉장고에는 과자, 라면, 소시지 등등의 음식이 가득 차 있었다. 그리고 인터뷰 내내 의국원들의 입은 쉴 줄을 몰랐다.

계속되는 수술 일정으로 해를 보지 못해도, 위급상황에서 살려낸 환자에게 감사의 인사를 듣지 못해도 모두가 '가족'이라서 행복하다는 그들의 무한 긍정이 계속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