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정보처리기술 접목한 휠체어 특허 5년 새 크게 증가

음성이나 뇌파 등 생체정보 인식을 위한 센서 및 뇌-기계 인터페이스(Brain-Machine Interface, BMI)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휠체어 특허 출원이 최근 5년(2012~2017) 사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청장 성윤모)에 따르면 스마트 휠체어 관련 특허 출원 건수는 2012년에 9건에 불과했으나, 2016년에 24건으로 150% 이상 크게 증가했고, 2017년에는 32건이 출원되어 전년 대비 33% 이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3년(2015~2017)간 출원인별 동향을 살펴보면, 기업체가 31건으로 47%를 차지했고, 대학 및 연구소 39%(26건), 개인 14%(10건) 순이다.

특히 대학 및 연구소의 출원 비율이 늘었다는 점도 주목할만하다. 2012~2014년까지 특허 출원 건수는 16건이었으나 2015년부터 2017년 사이에 출원된 특허는 26건이다.

특허청은 의공학 기술 분야에 대한 정부 지원정책에 따라 대학과 연구소가 연구 개발에 적극적으로 뛰어든 결과로 풀이했다.

스마트 휠체어 기술 출원 현황(2015~2017)

최근 3년(2015~2017)간 기술 분야별 출원 동향을 살펴보면, 휠체어 경사 극복기술의 비율은 52%에서 47%로 감소한 반면, 생체정보 처리기술을 휠체어에 접목한 인식기술의 비율은 27%에서 34%로 증가했다.

이 분야 개발 경향이 단순 기능 향상에서 인식기술을 접목한 능동제어 방식으로 진화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허청은 삶의 질을 점점 더 중시하는 사회경향에 비추어볼 때, 향후 그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허청 차세대수송심사과 이석범 과장은 “국내 스마트 휠체어 기술은 기술 선도 국가인 독일, 일본에 비해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향후 관련 수요의 증대와 국내 융합기술 생태계의 강점을 기반으로 시장 성장이 예측된다”며 “기술개발 초기 단계부터 관련 지재권을 조기 확보해두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스마트 휠체어 기술로 향후 전신마비와 같은 중증 신체 장애인들의 사회 참여가 가능하게 됨에 따라, 장애인들이 노동력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보다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